태극권은 명말청초 진왕정에 의해 창시된 진가태극권을 기반으로(1600년) 중국의학 및 주역,
노장사상과 결합하며 이론과 실제에 있어 각 유파로 발전을 거듭하였습니다. 진왕정의
진가태극권이 태극권의 몸을 설계하였다면 무우양의 무가태극권이 태극권의 마음을 확립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18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태극권의 분화발전이 일어나 각각의 독특한 특징을 지닌 크게 5~6개
분파의 태극권이 형성되었습니다.
(진가/무가/양가/오가/손가/홀뢰 태극권)

태극권은 세계적으로 2억~3억의 수련인구를 가지고 있는 심신수련법이자 움직이는 명상법, 운동법으로 단일운동 종목으로는
가장 큰 규모입니다.

20세기 초엽 서양문물이 밀려오고 무술의 쓰임이 사라지면서 가장 먼저 양생수련법으로 변신한
태극권은 현대에 들어, 다수의 연구결과를 통해 의학적 가치를 입증 받고 있습니다.

무술과 건강, 명상적 효과를 동시에 지니고 있고 수련 상에 강약의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신체조건과
연령층의 사람들에게 모두 적합합니다.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능히 다루는 사량발천근(四兩撥千斤)이라는 기술을 공통으로
하여 분화 발전된 태극권의 여섯 개의 유파(진가ㆍ무가ㆍ양가 ㆍ오가ㆍ손가ㆍ홀뢰 태극권)는
모두 개별적 특징이 있어 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 수련을 할 수 있습니다.
1. 신체 건강상의 특징
전신관절을 사용하는 다양한 움직임과 음양순환의 리듬으로 구성된 태극권의 동작은 신체의 각
관절과 장부에 이르기까지 모든 부분을 활성화 하고 인체 음양 에너지를 조화롭게 합니다.

① 전신관절의 기능을 원래의 건강한 상태로 되살려 균형 잡힌 체형과 건강한 신체 활동을 이루게 합니다.
② 중추신경을 조절하며 모든 만성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높입니다.
③ 고혈압이나 신장병 계통에 효과가 좋습니다.
④ 소화기 및 대ㆍ소장의 배설 기능을 순조롭게 합니다.
⑤ 정력증진과 생식능력을 항진시켜 생활에 활력을 줍니다.
⑥ 신체 기능의 정상화 및 향상 효과가 있고 뇌파의 흐름을 안정되게 합니다.
⑦ 자세 교정 및 집중력 향상에 탁월합니다.
⑧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태극권은 종종 생길 수 있는 수련시의 부작용이 전혀 없습니다.
2. 심신수련상의 특징
태극권 수련의 두 가지 목표인 환골탈태(換骨奪胎, 뼈대-구조-를 바꿈으로서 태-고질적인 습관들-를 벗어내다)와
음양화평(陰陽和平, 음과 양의 두 에너지 체계가 조화를 이룬다), 몸과 마음의 관계에 있어서의
‘심신일원론’의 관점은 육체(精), 정서(氣), 마음(神) 삼자를 명확히 밝히고 이들을 통합하여 실제 삶
속에서 활용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① 정서상의 불균형을 조절하고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키워줍니다.
② 의식의 섬세해짐은 상황을 판단하고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 현실적 능력을 키워줍니다.
③ 환골탈태와 음양화평을 통한 중정(中正)의 획득은 모든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게 합니다.
④ 음양 에너지 조절 훈련은 정서적인 문제를 안정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3. 경(勁)의 다양한 범위로의 적용
태극권에서의 ‘경(勁)’이란 신체의 관절과 근육, 장부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때 생기는 관계성의 힘입니다. 경의 획득을 통한 신체의
유기성의 획득은 ‘나’를 활용하는 모든 활동에 있어 큰 이익을 줄 수 있습니다.

① 경을 통한 긴장과 이완의 조절은 모든 신체활동의 기능을 높여 줍니다.
② 경을 통한 말단부위(손 끝 등)의 섬세해짐은 연주, 미술 활동 등에 큰 도움을 줍니다.
③ 신체의 유기적인 사용과 각 관절에 대한 이해는 무용 등의 신체 예술의 가치를 높이는 데 일조합니다.
④ 경을 통한 상대와의 감응 능력은 동양의학과 통하는 바가 있으며 특히 진맥 및 침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4. 태극권 대련법인 추수의 현대적 이해
추수는 상대와 양손을 맞대고 경을 연결하여 서로의 변화에 감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즉 변화를 단련하는 훈련법입니다. 이를 통하여 나의 고집 및 뚝심을 버리고 상대에게
응하는 바를 얻게 되는 데, 이는 마치 삶 속에서 사람들 간의 다양한 관계의 모습에
응하여 적절함을 찾는 것과 같습니다.

① 상대에게 감응하는 바를 얻을 수 있습니다.
② 사회생활과 인간관계를 원활하게 이끌어 줍니다.
③ 상대와 어우러지는 게임과도 같아 유희적인 측면이 큽니다.
④ 추수를 통한 힘과 에너지의 상호교류는 대인관계를 원만하게 해주고 자긍심을 높이는 데 효과적입니다.